또 국화는 피어 다시 눈물 지우고…조능식
또 국화는 피어 다시 눈물 지우고…조능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슬 치는 가을 밤 홀로 거닐면 시름에 싸이는 나그네 마음. 멀리 배에서는 등불이 새어 오고 초생달을 두들기는 다듬이 소리. 국화 또핀 남 녘에 사람은 앓아 눕고 편지도없는 북 쪽 기러기도 무정해 지팽이에 기대어 처마 밑에 서면 서울 하늘 쪽 은하(銀河)아스라 하다. ▼노하천고추기청 (露下天高秋氣淸) 공산독야여혼경 (空山獨夜旅魂驚) 소등자조고범숙 (疎燈自照孤帆宿) 신월유현쌍저명 (新月猶懸雙杵鳴) 남국재봉인와병 (南菊再逢人臥病) 북서부지안무정 (北書不至雁無情) 보첨의장간우두 (步詹倚杖看牛斗) 은한요응접봉성 (銀漢遙應接鳳城) ▼중국 제일 가는 시인은 누구냐 하는 물음에 대해서 두보(杜甫=712 ~770)라고 대답하는 것이 정답처럼 되어 있다. 두보는 이백(李白=701~762)과 더불어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지목된다. 위의 「가을밤」이라는 시는 서기 766년 두보 나이 55 세의 작품이다. -아첨하거나 비굴하지 않은 그의 성격이라서 벼슬에서 물러난 후 여기저기 전전한 끝에 「기주=장안의 남 쪽」에 살면서 어려운 생활 속에서 고독을 감수해야했 던 때 쓴 작품. 따라서 두보의 詩들 중에는 침통한 감정을 노래한 쪽에 걸작이 많다는 평자들의 말이다. 이백(李白)처럼 낭만과 환상을 지니고 있는 시인은 평 상시에도 정열이 끓어 오를 수 있었겠지만 두보의 경우 는 그렇지 못했는지 모른다. 이 시의 첫머리 「이슬」과 「하늘」과 「가을의 소슬 한 바람」등 세 가지 요소가 계절의 슬픔을 느끼게 한 다. ▼다음에는 이백의 「조용한 밤에 생각한다(靜夜思)」 라는 시를 더듬어 보자. 서리 내린 곳 달빛이 맑다. 자다가 일어나 앉는다. 고개를 드니 산에 달이 걸리고 눈에 삼삼이는 고향……. 나는 그만 머리를 숙인다. ▼고향생각에 잠못 이루어 이리뒤척 저리뒤척이다가 문 득 눈을 돌리니 뜰을 뒤덮은 이 어인 서리인가? 이윽고 고개를 처들어 산에 걸린 달을 보고야 그것이 서리 아닌 <달빛>임을 알았더란다. 나그네 시름 진정할 길 없어 다시 고개 숙여 향수(鄕 愁)에 잠겨버린다……. ××× ××× ▼-가을 속의 무더위가 계속되더니 소나기 한줄기에 소슬한 바람이 가을을 몰고 온 어제 오늘이다. 두보나 이백의 시가 아니드라도 요즘 우리들의 온갖 < 침울함> 들은 정녕 <나그네>의 시름을 자아내게 한다. 그러나 청명한 대기로 오곡백과 무르익어 풍요를 약속 하는 오늘이 아니냐? 「가을 향기」를 가슴 깊이 들이마시고 힘내자고 외쳐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명 : ㈜한국섬유신문
  • 창간 : 1981-7-22 (주간)
  • 제호 : 한국섬유신문 /한국섬유신문i
  • 등록번호 : 서울 아03997
  • 등록일 : 2016-11-20
  • 발행일 : 2016-11-20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234 (밀스튜디오빌딩 4층)
  • 대표전화 : 02-326-3600
  • 팩스 : 02-326-2270
  •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석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 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김선희 02-0326-3600 [email protected]
  • 한국섬유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한국섬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