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스포츠 마켓 트렌드 - 아웃도어 퇴조속 ‘스포츠웨어’ 일상화 확산
가격보다 다양한 감성 살리고 포지셔닝 타파할 때
이 같은 움직임 속에 여러 패션 기업이 스포츠 라인을 새롭게 런칭하거나 스포티한 제품군을 대거 선보이는 등 스포츠복 업계의 경쟁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실시한 2017패션마켓트렌드는 이 같은 내용을 분석하고 소비자 수요변화로 브랜드 세대교체, 보더리스화에 따른 새로운 제안의 필요성 등을 사례로 들어 위기돌파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편집자 주>
스포츠복 시장은 스포츠활동 종류에 따라 애슬레틱 스포츠복, 골프복, 아웃도어레저복으로 세분할 수 있다. 13세 이상 소비자의 2016년 스포츠복 제품 구매실적을 조사한 결과, 2015년 동기대비 5.4% 하락한 7조 5208억 원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복 시장을 조사한 이래 처음 역신장 한 것이다.스포츠복 시장은 2016년 상반기에는 2조 9751억 원을, 하반기는 4조 545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1.5%, 7.7% 하락한 것이다. 하락을 주도한 것은 코트, 사파리 등 아우터 품목이다. 아웃도어 시장이 침체에 접어든 것이 주된 이유다.
2016년 성별 시장규모 실적
남성 스포츠복 시장은 4조 6861억 원으로 조사됐다.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비중은 40.8%, 59.2%로 하반기가 매우 우세한 편이며 하반기 스포츠 외투류는 전체 시장의 55% 비중이다.
일상용 구매가 대부분, 등산용 감소세
2016년 스포츠복 구매 목적으로 상반기에는 도시생활에서 활용하는 일상용이 전체 구매의 50.2%로, 하반기에는 71.1%로 나타났다. 걷기활동용으로는 상반기가 강세를, 일상용으로는 하반기가 강세였다. 등산용으로는 2015년 하반기부터 16.7%, 2016년 상반기 10.5%, 하반기 6.9%로 감소 추세다.
경쟁동향
나이키, 아디다스가 있는 글로벌 스포츠군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펼치는 마케팅과 그들이 쌓아온 기술력으로 인해 비교적 선전했다. 하지만 한국형 아웃도어 시장에서 활동한 브랜드들은 기존 컨셉까지 무너질 정도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패션기업 스포츠시장 진출 활발하지만
스포츠인구 증가가 매출로 연계되지 않아
패션기업들이 불황타개로 스포츠 시장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는 추세다. 기존 정통 스포츠, 아웃도어,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가 상호 융합되는 상황이 강해지면서 패션기업들이 스포츠 소비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한 스포츠 라인 런칭을 통해 시장진출에 속도를 냈고, 이런 추세는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스포츠웨어 시장의 경우 신규 고객 유치가 쉽지 않을 것이며 장기 불황에 스포츠복에 대한 실구매가 지속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실제로 백화점에서의 스포츠관련 브랜드 매출은 예전만 하지 못하다. 스포츠 존에서 선두권을 점유하는 리딩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순위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대부분의 브랜드 매출이 2015년, 2016년 연속으로 역신장하고 있다. 업계의 치밀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