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사이버 인프라’ 활용 주목

2001-01-24     한국섬유신문
글로벌 스포츠브랜드 나이키가 갖고있는 무수한 강점은 제품력과 마케팅력에있다. 철저한 사전조사와 기술개발 을 바탕으로한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제품 그리 고 나이키문화를 창조하는 나이키만의 독특한 마케팅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최근 삼성경제연구소 노재범 수석연구연구원이 제 공한 경영사례 중 “인터넷을 통해 디자인 정보를 공유 하는 나이키”를 발췌해 싣는다. [경영사례] 나이키 직원은 더 이상 신제품정보에 어둡 지 않게 되었다. 이는 글로벌 제품정보 네트워크 (GPIN:Global Product Information Network)라고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시스템 덕분이다. GPIN은 전세계 에 퍼져 있는 나이키의 직원들이 운동화의 최신 디자인 에서부터 판매실적까지 온라인으로 찾아 볼 수 있는 정 보인프라다. GPIN의 개발은 1995년 연매출을 30억 달러에서 90억 달러로 높이기 위한 3개년 계획에서 비롯되었다. 이 기 간중 나이키는 ‘퓨처비전’이라고 하는 운동화 생산공 정 재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프로젝트 추진팀은 제 품생산에 관해 10여 가지가 넘는 새로운 개념을 생각해 냈는데, 그중 하나가 지속적인 상품화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나이키는 16~18개월에 걸친 운동화 개발과정 동안 정보의 흐름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협업을 가능하 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GPIN개발을 추진하였다. 우선 나이키의 정보기술팀은 GPIN을 계획·디자인·제 품관리 등 업무중심으로 설계했다. 또 운동화 모형을 디지털사진으로 찍기 위해 회사 내에 사진실을 만들었 다. 1997년 GPIN이 첫 선을 보이면서 정보기술팀은 직 원들이 새 정보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의 생각은 완전히 빗나갔다. 본부의 직원들 이 디자인이 변경될 때마다 이를 항상 업데이트하는 것 은 아니어서 일부 외지를 제외한 해외직원의 대부분은 GPIN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았다. 본부의 직원들은 업무시 GPIN이 필요 없었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데 들어가는 별도의 수고에 대해 어떤 인 센티브도 받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었다. 한 예로 본부 의 마케팅 담당자의 경우 최신모델을 보기 위해 인트라 넷에 들어갈 필요가 없었다. 이와 같은 GPIN의 활용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나이키는 네 명의 정보 전문가를 GPIN 활용촉진 을 위한 코치로 임명했다. 1998년 6월 GPIN의 기능을 보완하면서 나이키는 정보 시스템의 콘텐츠를 업무가 아닌 제품중심으로 재분류했 다. 직원들은 보통 하나의 제품만 다루기 때문에 육상 화 디자이너는 육상과 관련된 정보만 보고, 테니스화 디자이너는 테니스와 관련된 정보만 찾는 형태를 반영 하기 위해서였다. 최신판 GPIN은 디자인과 기획과정의 최초단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 풍부한 자료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마 케팅 관리자들은 초기 생산 예상치를 입력할 수 있으 며, 이것은 다시 회사 전체의 예측 시스템에서 활용될 수 있다.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스케치와 디자인 보드를 스캔해 양식에 맞춰 GPIN에 올릴 수 있으며, 각 제품 의 담당직원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제품을 색상·가 격·고객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색상 디자이너들은 색상표를 보고 어떤 시장에서 어떤 색상이 유행할지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경영진의 경우 특정 시즌의 베스 트셀러 제품에 관한 비밀 보고서를 GPIN을 통해 볼 수 있다. 무엇보다 GPIN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능은 후방 의 여러 시스템으로부터 모아 하나의 페이지에 종합하 여 보여주는 가상 카탈로그다. 한 예로 남성용 육상화 를 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모든 기획색상 에 대한 각각의 사진 및 각 모델의 소재·타깃 고객· 소매가 등의 정보를 한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GPIN은 이제 종업원들의 업무에 필수 도구가 되었다. GPIN을 통해 유럽과 아시아 등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 져 있는 파트너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서도 신제품 디자 인을 즉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단계의 신제품개발에 관한 미팅은 제품 과 관련된 사항을 완전히 마무리 짓는 장소가 될 수 있 다. 이처럼 디자인과 개발에 들어가는 초기 과정이 짧기 때 문에 남는 시간을 제품시험·품질관리·생산계획에 더 많이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해외 직원들의 경우 온라인으로 신제품 디자인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샘플을 보낼 필요성도 줄어들었으며, 개발비와 개발시간도 혁 신적으로 절감됐다. /정리 이경호기자 anycall@ayza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