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중소기업청 용역사업] 활성화방안연구(1) 패션프로모션업체
1999-02-05 한국섬유신문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해 온 우리나라 섬
유산업이 아직도 해외에서 10달러짜리 스웨터의 OEM방식의
수출대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내수 패션시장이 패션화 되어 있긴 하지만, 아직도 국내 패
션산업은 그 규모의 영세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
나마 한국패션산업은 WTO체제의 무한 경쟁속에서 수입 의
류의 폭증, 선진국의 견재, 후발 개도국의 추격등, 국내외 어
려운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게닥 2005년부터는 수입 완전 자유화로 섬유 쿼터제가 없어
지게 되어 암운을 길게 드리우고 있다.
최근, 국가적 부도 위기와 IMF협정, 아시아의 금융위기등 경
제사정 악화와 의류업체들의 전반적인 경기침체는 이곳 패션
제품이나 소재를 공급하는 프로모션 업체나 소재 전문업체에
게도 연쇄적인 영향을 주어 이들 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
는 실정.
이에 이화여대 의류직물학과 조규화 교수의 연구 책임하에
동덕여대 의상 디자인과 정성지교수, 이니 플래닝 대표 김경
희, IVY대표 김영호씨가 공동 연구원으로 발간한 기업 규모
가 영세하고 재무구조가 취약한 이들의 현황과 패션미래산업
을 위한 향후 미래전략에 대한 연구집이 새로이 화제를 모으
고 있다.
다음은 97년도 중소기업청 연구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패션프로모션 업체 및 패션 소재전문업체의 활성화 방안」
연구집의 요약 내용이다.
1970년대 말부터 OEM방식의 해외 수출길이 막힌 국내 봉제
업자들이 자신들의 상품을 소화시킬 수 있는 의류업체들을
설립, 국내 의류업체에 납품하면서 자연발생한 패션 프로모
션 업체.
발생초기에는 자체 기획력없이 의류업체가 제시한 디자인을
단순 생산하는 하청업체의 수준이였으나, 80년대 중반이후
그 수가 증가하면서 점차 기획력을 갖춘 업체가 등장. 의류
업체에서 디자인 실장이나 MD경력을 쌓은 전문 인력들이
독립하면서 뛰어난 기획력을 자랑하는 우수업체들이 속속 등
장하여 90년대에 폭팔적인 등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제품의 판매시즌전에 디자인 샘플을 개발, 이들 의류
업체에 납품하는 이들업체는 최근들어 기본적인 영세성과 함
께 ▶기획력 및 전문성 부족 ▶의류업체와 거래사의 알력 ▶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의 非연계, 해외 패션프로모션 업체와
의 경쟁력 약화, ▶협회나 단체의 부재 ▶인재 육성을 위한
전문교육의 결여▶정부의 지원부족등으로 발전의 문턱을 넘
지 못하고 끊임없이 생성소멸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지적되
고 있다.
이들의 취급 아이템은 정장보다는 캐주얼에 집중되어 있고,
스포츠 골프웨어 비중도 점차 증가되는 한편에서 여성 캐주
얼 29.2%, 남성 캐주얼 21.4% 스포츠 골프웨어 (20.8%)로 구
성되어있으며, 언더웨어를 취급하는 업체는 거의 없다는 것
이 특징.
현재 패션 프로모션 업체는 자금력이 미약하여, 기획의 전문
성을 추구하기 보다는 생산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설문
조사의 결과를 봐도 우수한 생산라인 (21%), 높은 신용도
20.3%)가 이들의 가장 큰장점인데 비해, 자금력 (7.8%), 투자
력(6.8%)로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들은 내셔널 브랜드 (54.5%) 라이센스 브랜드 26.4%) 사입
브랜드 (16.4%)순의 거래처를 갖고 있으며, 거래선 개척시에
는 대외적인 자사의 인지도 (33.6%), 가격경쟁력(20.9%), 신
속한 납기 (20.9%), 친분관계 17.3%)의 순으로 나타나 과거
의 친분중심의 거래를 지양하고 실력위주로 거래하려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
단가의 결정 역시 대부분 프로모션과 의류업체간의 협의하에
이뤄지지만 결정된 단가의 적절성에 대해 대부분의 패션 프
로모션 업체가 불만족(86.5%)하며, 만족의 경우는 10.8%에
불과하다.
이들에 대한 대응방안은 우선 수주 중심의 쇼룸 전시회 컨
벤션 등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패션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도
모하는 기획전략이 되어야 하며, 영세업체의 흡수 합병에 의
한 전문화 대형화를 시도하는 경영전략으로 내실위주의 거래
가 실행되어야 하며, 재래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로 유통 경로
의 다변화를 시도 해야 할것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우수 생산공장의 확보와 납기일을 단축하고, 뛰어난 생
산 기술과 설비를 확충하는 생산전략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유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