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窓]3月 폭설…수출 약화

2005-03-11     안은영
최근 불거진 ‘원자재 파동’이 발생하기 전까지 핸드폰, PDP 등 일부 업체들에 힘입어 IT, 철강에 한정된 ‘수출흑자시대’가 열리는 듯 했다. 그러나 의류수출업계의 수출은 지속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고 최근의 수출경기는 그야말로 바닥을 치고 있는 실정이다. 거기에 쿼타철폐를 앞두고 미국, EU 할 것 없이 섬유/ 의류 무역 감시가 날로 강화되고 있어 업계 분위기는 3월 때아닌 폭설만큼 꽁꽁 얼어붙어 있다.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 미국은 경기회복세가 가시화되면서 리미티드, 리즈칼본, 제이씨 페니 등 대형 의류소매업체들의 매출이 5-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문제는 최대 바이어 미국의 호경기가 국내 업체의 수출확대로 연결되지 못한다는 것. 쿼터 폐지후에는 중국으로 공급업체를 변경하겠다는 바이어들의 반응도, 중국 및 동남아국의 저가 공세로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는 전망도 새삼스러울 것 없는 기정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수출업계는 이렇다할 대책마련은 고사하고 각국 으로부터의 철저한 수입심사가 구체화될 때까지 조사내용조차 모르고 있는 업체가 많다. 지난 2일부터 오는 4월 30일까지 실시되는 양말류 구류조치, 미국의 정확한 원산지증명 요구, 생산공장에 대한 불시 방문 등의 조사는 따지고 보면 원칙대로 하겠다는 말인데... 이러한 감시강화로 인해 업계의 불편함이 증가될 것은 사실이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명확한 수출루트를 준수하고 있었다면 문제시 될 것도, 개선해야할 것도 없는 사항이다. 불법환적 감시 강화 등에 따른 직접적인 수출위축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반응에 대해 업계의 ‘대충’ 수출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저가 수출국과 가격경쟁하기에도 여력이 없다’고 말하기 전에 ‘정확한 과정으로 신뢰부터 쌓아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제기되고 있는 것. 수출업체들의 관련법에 대한 이해 부족만큼이나 ‘쿼터폐지만 되면 수출 가능 할 것’이라는 인식의 접근도 불안해 보인다. 분명한 것은 쿼터가 폐지되더라도 관련 통상법은 여전히 존재하며 미국, 유럽의 대형 바이어뿐만 아니라 중소규모의 바이어들도 ‘오더 가려주기’를 진행할 것이라는 것이다. 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생산도, 단가 인상 위한 소재 개발도 최소한 ‘원칙’ 준수를 통한 기본경쟁력 확보 후에 다져할 부분이다. /e-yo@ayza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