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 강행 일파만파 - 섬유산업 재도약 후폭풍
한미FTA협상, ‘개성공단産=한국産’ 인정 첩첩산중
2007-10-12 전상열 기자
9일 북한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지하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는 발표 직후 섬유업계가 숨을 죽인 채 앞으로 향방에 초미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북의 핵실험 파문이 온 세계를 긴장의 도가니로 몰아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경제계 역시 패닉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침체 경기에 핵폭풍이 덮치면서 한국경제에 짙은 먹구름을 드리운 것이다.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 국제사회가 대북강경제제 등 맞대응으로 치닫게 될 경우 한국경제는 국가신용등급하락, 외국인자금이탈, 성장률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에 끌려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환율급등락에다 증시가 요동치는 등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제사회의 제제가 강도를 높일 경우 소비, 투자 감소로 이어지면서 실물경제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섬유·패션산업은 이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 생산제품 대부분을 수출에 의존하는 섬유산업 구조상 환율급등락은 정상적인 수출 활동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만약 군사제제로까지 이어질 경우 생산, 선적 등 기업활동은 전면 중달 될 수 있는 위기도 예상된다. 내수 패션산업 역시 소비위축에 따른 판매부진이라는 부메랑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중국 등 동남아 후발국들과의 경쟁에서 열위에 놓인 섬유산업의 경쟁력 제고수순이 개성공단을 통한 활로모색의 기회가 도로아미타불이 된다는 것이다.
그 징후도 드러내고 있다.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예정된 개성공단 본단지 1단계 2차분양이 무기한 연기됐다. 아직은 개성공단에 진출한 신원 등 섬유업체들이 정상조업 상태지만 북핵실험 사태가 최악의 상황에 놓일 경우 입주업체들의 철수사태는 불가피하다. 개성공단을 통한 섬유산업 경쟁력제고는 한미FTA협상과도 맞물려 있다. 개성공단산이 ‘한국산’으로 인정돼야 섬유류 대미 수출에 경쟁력을 발휘하는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북한의 핵실험 강행은 향후 한미FTA협상에서 험난한 노정을 더욱 명확히 했다. 북의 핵실험이 없었던 상황에서도 ‘개성공단산=한국산’ 등식을 강력히 부인해왔던 미국의 입장이 더욱 강경해 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북의 핵실험 후폭풍 파문이 앞으로 어떤 식으로 섬유·패션업계를 덮칠지 예측불허의 상황만 강하게 부각되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