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제공장 원단 조각만 모아도 연간 300억 원

정부·자자체, 폐섬유 자원 활용 제도 정비 착수

2014-01-09     정기창 기자

올해부터 그냥 버려지던 섬유제품(원단조각) 쓰레기가 재활용 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사 및 직물 공장에서 나오는 자투리 원단은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재생섬유로 활용돼 왔으나 올해부터는 봉제 공장에서 나오는 아주 작은 조각 원단들도 재활용 됨으로써 폐섬유 자원 활용에 일대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봉제산업협회,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서울대 패션신소재연구센터 추정치에 의하면 서울내 봉제공장에서 배출되는 섬유제품 쓰레기는 연간 10만6000톤 수준. 이들 쓰레기는 지금까지 일부만 재활용됐고 대부분 생활 쓰레기로 분리·배출돼 왔다.

정확한 정부 통계는 없으나 본지 취재와 업계 추산에 따르면 섬유제품 쓰레기 수거 및 처리 비용만 154억8000여 만 원에 달해 폐섬유 자원으로 재활용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이득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가공 단계를 제외한 1차 부가 효과만 따져도 116~137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돼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쓰레기 배출량 감소와 동시에 소각 또는 매립에 따른 환경 및 토양 오염을 줄일 수 있고 영세 봉제 업체의 폐기물 처리 비용을 경감시키는 등 사회적 가치도 막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미 환경부 및 서울시 등 지자체는 관계 법령을 정비해 섬유제품 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법적 제도 정비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빠르면 1월 말 또는 2월 초 관계 법령을 고쳐 시범 사업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제도가 정식 시행될 경우 단순한 직·간접 효과만 따져도 최소 300억 원에 달해 매년 중견 직물 공장 한 개를 세우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신제품개발이나 전시회 지원, 산업 구조 합리화 같은 돈드는 사업과 달리 기존의 시스템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제도적 장치만 손보면 되기 때문에 업계에서 크게 환영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