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패션위크 진행, ‘단합’아닌 ‘이원화’
“누구를, 무엇을 위한 행사인가?” 정체성 논란 우려
서울패션위크가 ‘단합’보다는 ‘이원화’된 진행으로 혼선을 주고 있다. 도대체 누구를, 무엇을 위한 행사인지 또 한번의 정체성 논란이 우려된다. 서울패션위크가 개최되는 IFC몰과 여의도 공원, 두 곳에는 패션쇼를 개최하는 디자이너들 각 각의 스케쥴이 붙여져 있다. IFC몰에서는 여의도공원에서 무슨 행사가 열리는지 알 수가 없다. IFC몰 2층에서 열리는 패션쇼는 바이어나 프레스들이 패찰을 받고 등록해도 디자이너측의 개별 입장 티켓을 받지 않으면 출입이 불가능하다.
여의도공원에서는 사전, 현장 등록만해도 패션쇼 관람이 가능하다. 언론에 배포하는 보도자료도 각각이고 자료를 참고할 수 있는 웹하드도 각각이다. 바이어를 비롯한 VIP, 업계 관계자들에게는 큰 혼선을 가져다 줬다. “바이어들이 입장 못하는 컬렉션을 왜 하는가?”라는 몇몇 백화점과 유통사 바이어들의 의문도 제기됐다.
‘서울패션위크’라는 공동의 타이틀만 없다면 마치 다른 행사처럼 보인다. 서울시와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가 공동주최 MOU를 통해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진행을 하겠다던 취지와는 방향이 다르다. 이번 서울패션위크는 ‘복합패션문화축제’를 모토로 다양한 콘텐츠 기획, 시민과 함께하는 축제의 장, 글로벌 패션마켓 진출의 교두보 마련 등을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품고 진행됐다.
서울컬렉션에서는 다양한 중견과 신진이 만나는 폭을 확대하고 제너레이션 넥스트는 한국과 중국, 태국 등 해외 신예도 참가함으로써 글로벌 진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업그레이드도 시도됐다.
티켓을 판매하지 않고 사전에 초청을 통해 지정좌석제를 함으로써 기다리는 불편을 최소화하고 그동안 있어왔던 여러 가지 부작용을 근절한다는 취지도 좋았다. 그러나 문제는 서울컬렉션이 한국패션의 우수성을 알리고 홍보하며 바잉이 일어나도록 해야 하는 근본적인 취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IFC몰에서 개최하는 패션쇼의 경우 사전등록이 돼 있어도 디자이너로부터 초청 티켓이 없으면 입장이 불가해 주요 국내 백화점 바이어나 프레스가 거의 참석하지 못했다.
이 같은 사실을 공지하는 기간도 짧았을 뿐만 아니라 홍보대행사에 초청을 의뢰한 경우 디자이너가 지향하는 유통이나 언론사와는 거리가 먼 초청객들이 자리를 채우는등 부작용도 심각했다. 안전요원들의 과잉 행동에 따른 소란스런 장면도 매일같이 반복됐다. 신진육성을 위한 제너레이션넥스트가 열리는 54층은 일부를 제외하고 썰렁했고 행사 진행요원들이 빈 자리를 채우는 경우가 많았다.
IFC몰 앞에서 ‘대중과 호흡하는 패션문화축제’ 일환으로 플리마켓(도때기 시장)이 열린것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항의도 있었다. 해외 바이어 또한 ‘의아한 반응’을 보였다. 도네이션과 신진의 팝업이란 긍정의 의미도 있지만 고부가가치 창출에 사활을 걸고 한국패션문화를 보여준다는 취지와는 방향이 다르고 특히 좁은 공간에서의 혼란스러움을 가중시켰다.
전문가들은 “철저하게 초청위주의 컬렉션을 하려면 디자이너별 기획, 유통방향에 근접한 바이어와 VIP,프레스에 대한 사전분석으로 정확한 타겟팅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장소가 이원화됐더라도 동떨어진 행사로 인식되지 않고 관람객들에게 불편을 주지않도록 효과적인 조율과 진행방법의 사전모색이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반면, 아시아패션포럼, 노라노 시사회 같은 ‘패션필름’, 콘서트등 패션피플과 대중들로부터 관심을 이끌어 낼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보강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