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새 탈출구 ‘안전모드’…법제화가 관건
난연사 ‘확대’ 폐·재생섬유 ‘규제’ AI ‘대체’
2016-02-25 전상열 기자
화섬업계, 난연사 아라미드 충전재 등
다양한 소재 거느려 최대 수혜주 부상
당장 화재 현장의 유독가스 배출을 줄이려면? 어린이집 등에서 공동 생활하는 유아동을 화재로부터 보호하려면? 의료용 침대나 시트, 매트리스 등 폐 섬유나 재생섬유의 범람을 막으려면?
이상 3개 질문에 대한 보편적인 응답과 관련 자연스럽게 안전강화 모드를 떠올리게 한다. 왜일까. 다름 아닌 지난해 세월호 참사가 준 교훈이다. 안전이 섬유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알리는 키워드로 떠올랐다.
섬유업계가 안전강화 마케팅으로 새로운 수요 창출이 요구된다. 최대 수혜주는 단연 화섬업계다. 안전강화 전 분야에 걸쳐 화섬업체들의 비즈니스 영역과 맞물려 나간다. 수요확대는 법제화에 달렸다. 생활안전 관련 폐·재생섬유 규제 법제화, 공동생활 유아동 유니폼 난연소재 확대 법제화, 커텐 등 산자용 생활소재 난연화이버 사용 법제화 등 다양하다.
최근 각 산업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행적이었던 각종 규제에 대한 완화 목소리가 높아지는 추세다. 불필요한 규제를 풀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자는 뜻이다. 섬유산업도 동일선 상에 놓였다. 그러나 규제를 당장 강화해야 산업이 살아나는 긴박한 경우도 없지 않다. 바로 안전분야 강화다.
난연사 확대 법제화는 발등의 불이다. 우리나라는 화재만 발생하면 유독가스 질식에 의한 사망자가 유독 많다. 방염 시트를 사용한 대구 지하철 참사는 대표적인 사례다. 또 커텐 등 대부분 건축자재를 방염이나 할로겐 처리함에 따라 화재시 유독가스를 키운다. 이에 반해 유럽 일본 등 선진국 관련 단체는 엄격한 법적근거를 마련해 화재로부터 자국 인명 보호와 난연사 산업을 살리는 일거양득의 묘 발휘에 앞장서 왔다.
국방 경찰용으로 파라·메타 아라미드섬유의 국산 의무비율 확대도 요구된다. 이 분야 규제 강화에 따른 국산화 제고 차원이다. 생활안전과 관련 침대 매트리스 등 폐·재생섬유 활용에 따른 포롬 알데히드 규제 법제화 강화도 시급하다. 폐·재생섬유의 엄격한 관리는 병원이 병을 키우는 원천봉쇄가 가능하다.
건강과 관련 중국산 패딩 수입에 대한 엄격한 관리감독도 시급하다.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된 덕 다운을 사용한 패딩은 사람의 건강을 해치게 한다. 또 마취 없이 친칠라 털을 뽑는 행위는 도덕적으로 질타가 뒤따른다. 이 모두 화섬으로 커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섬유산업의 새로운 수요창출에 관심을 집중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