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너간 ‘실질 오더수주의 장’…“서울패션위크, 초심 잃었다”

컬렉션 진행 좋았으나 ‘페어’는 기능상실 디자이너연합회 공동주관 불허 ‘사기저하’ 서울시· 디자인재단 “포용하고 조율나서야”

2016-04-01     이영희 기자

“서울패션위크, ‘포용’과 ‘조율’이 필요하다.”
서울시가 주최하고 (재)서울디자인재단이 주관한 ‘2015F/W 서울패션위크’가 지난달 25일 엿새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이번 서울패션위크는 DDP에서의 성공적 컬렉션 진행과 안착, 대중적 관심고조 등 긍정적 평가를 이끌어 냈다. 하지만 진정한 비즈니스의 장을 표방했던 ‘패션페어’의 기능상실에 대한 우려,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이하 CFDK)와의 공동주관 무산에 따른 ‘민간주도형 행사’의 목적성 상실 등은 차기 해결과제로 돌출됐다.

패션페어의 참가업체는 35개사로 79회의 패션쇼에 비교할 때 많이 부족한 숫자다. “명실상부한 ‘패션위크’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패션쇼에 참가하는 디자이너들을 포함에 컬렉션 두배의 브랜드사가 참가해야 적정 규모”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컬렉션과 페어를 통해 하이엔드 이미지와 오더할 수 있는 실용패션 제품들이 하나의 공간에서 전시돼야 한다.

더불어 컬렉션장과의 접근성, 근거리 공간 활동을 통해 효율적으로 바이어들과 일반인들에게도 공개돼야 하는데 이번에는 이간수문전시장 지하 1층에 마련돼 서울패션위크와는 별개의 행사처럼 한산한 가운데 이질감마저 들게 했다. 국내 유통의 모 바이어는 “한국사람도 찾기 힘들어 몇 번을 헤맸는데 외국인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고 불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매년 패션쇼와 페어 참가를 통해 중동을 비롯 고정바이어들과 성공적인 오더수주를 하고 있는 최복호 디자이너는 “서울패션위크의 페어는 더 키워나가야 한다. 한국디자이너계는 산업적 해석이 약하다.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바로 페어이다. 해외시장으로 향하기 위해 효율적 운용을 위한 인프라를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기위해서는 “주관측이 페어 확대와 활성화에 노력하고 사전 홍보에 대한 노력을 배가해 줄 것”을 당부했다.

디자인재단측은 패션위크종료 즉시 35개 참여업체와 간담회를 가졌으며 사전 설문지를 통해 개선사항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내선 팀장은 “이번에 도출된 페어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효율적인 개선사항이 나올 수 있도록 심각하게 고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참가업체들은 “페어개최 사전에도 간담회를 했지만 장소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고 안내요원들이 교육이 제대로 돼 있지 않아 바이어들과 관람객들을 불편하게 하는 사례도 많았다”면서 “개선방법 중 하나로 서울패션위크 기간과는 별도로 페어장 운영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행사의 본질을 희석하는 것”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서울컬렉션은 기성디자이너들이 참가하는 58회 서울컬렉션 무대와 신진들에게 기회를 준 21회의 제너레이션넥스트가 진행됐다. 불황과 제반 환경탓에 예년보다 주요디자이너들의 컬렉션 참여가 부족했으나 톡톡튀는 신진들의 무대는 바이어들과 프레스의 관심을 끌어내기도 했다. 무엇보다 대중들의 호응이 높아 DDP주변에는 패션피플을 자처하는 애호가들로 북적이는 등 축제분위기가 조성되는 성과가 돋보였다.

그러나 디자이너들의 주 무대인 서울컬렉션에 막상 CFDK가 공동주관이 아닌 후원으로 밀려나면서 주인공이 빠진 생일잔치를 보는 것 같은 침체 분위기가 지속됐다. ‘공동주관’의 사전적 해석을 앞세운 서울시의 입장에 대해 패션계는 “충분이 이해되는 사항이나 서울시가 몇해전까지만 해도 ‘서울패션위크’를 민간주도형 행사로 중장기 비전아래 육성하겠다고 했는데 공동주관사로 CFDK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본질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CFDK관계자는 “조만간 운영진들의 통합회의가 있을 예정이나, 연합회의 입장은 서울시와 꾸준한 협의를 시도함으로써 함께 손을 잡고 나아가는데 전력한 다는 것”이라며 “컬렉션의 주역인 디자이너들의 사기진작에도 문제가 있지만 서울시측에서도 CFDK가 오랫동안 행사를 진행해 온 노하우와 인프라를 공유할 수 있지 않은 가?”라고 반문했다.

관련업계는 “서울시가 패션위크를 통해 서울을 세계 5대 패션도시로 육성한다는 원대한 목표를 세웠다. 그런 만큼 민간단체인 CFDK의 효율적 인프라 활용을 통해 상생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포용과 의견 조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