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섬칼럼] 섬유산업 허리 ‘제직공장’ 안돌아간다
“감가상각이 끝났는데도 제조원가가 판매가의 98%까지 올라갑디다. 항우장사라 한들 적자를 감당할 수가 있겠습니까? 이제 해외에서 살길을 찾아보려 합니다.”(A 사장)
“요즘처럼 제직 협력공장 찾는 데 힘든 경우는 없었습니다. 경기가 좋아 협력업체 수배가 어려운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지금 상황은 이게 아니에요. 아예 공장을 돌리려 하지 않습니다.”(B 사장)
마른 수건 짜듯 바이어 가격은 떨어지기만 한다. 물량까지 줄여나가 감당을 더 어렵게 한다. 문제는 이에서 그치지 않는다. 소롯트 다품종 주문에 가격은 싸게, 품질은 높여 달란다. 바이어 주문에 응할라 치면 허리가 휠 정도다. 섬유산업 곳곳에서 공장 문 닫겠다는 아우성이 빗발친다. 섬유산업에 불황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채 하나 둘 제조업 포기사태가 줄을 잇는다.
섬유산업의 엔진이 동력을 잃어간다. 자칫하면 올 스톱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는 말까지 나돈다. 너무 과장된 게 아니냐는 반론도 있지만 조바심 타는 속내까지 숨기기가 쉽지는 않다. 애써 말하는 게 레드오션 상황에서도 블루오션을 누비는 업체들이 많다는 정도다. 사실 이 말은 틀린 게 아니다. 오히려 산업의 발전적인 측면에서 보면 대단히 바람직스럽다. 다만 빙산의 일각만 아니길 바랄 뿐이다.
A사장은 국내서 손꼽히는 고부가가치 화섬 직물업체 대표다. 회사 이니셜만 대도 단박 누구라고 인지할 정도다.
치솟는 제조원가 감당 어려워
공장 돌릴수록 적자만 눈덩이
불황에 문 닫는 직물공장 속출
제직난에 납기 스트레스 초비상
식어가는 엔진에 미래가 없다
제직의 엑소더스나 납기 스트레스가 뜻하는 의미는 다름 아니다. 국내 섬유산업의 제조기반이 바람 앞의 등불신세나 다를 바 없다. 불황속에서도 잘 나가는 기업은 많지만 현실과의 싸움은 크게 다를 바 없다. 답은 다름 아니다. 제조기반 없는 한국섬유산업, 미래는 더더욱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