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2명은 미래의 질병 위험요인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재정 부담 증가’를 꼽았다. 질병을 포함해 현 사회의 위험요인으로는 ‘불특정 다수를 향한 묻지마 범죄 증가’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국민 대다수는 미래의 질병 위험에 대해 정부가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8월 1~7일 19~65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9.9%는 ‘한국 사회에서 대응이 시급한 미래 질병 위험(3가지 복수 응답)’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재정 부담 증가’를 꼽았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발생(44.9%)’, ‘다양한 갈등 해결과 건강한 관계 맺기(43.1%)’, ‘기후변화 대응 및 녹색성장(38.9%)’, ‘질병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미래기술의 발전(21.1%)’,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노력(19.1%)’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특히 중년층(63.1%)이 청장년층(51.3%)보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재정 부담 증가’를 심각한 위험요소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장년층보다 중년층이 사회보장재정 부담 증가를 심각한 문제로 보는 것에는 노후 생계나 돌봄 문제에 대해 느끼는 불안함이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대에서 더 크게 느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응답자의 66.4%가 '정부가 미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위험 요인을 예방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있는지'에 대해 부정적(전혀 그렇지 않다 15.6%·그렇지 않다 50.8%)으로 생각했다.
한편, 설문 응답자들은 질병을 포함한 전체 사회의 '현재' 위험적 요인(3가지 복수 응답)으로는 ‘불특정 다수를 향한 묻지마 범죄 증가(5점 만점 중 평균 3.42점)’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는 설문조사 직전 흉기난동 사건이 잇따랐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3.406점)’,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3.405점)’, ‘사이버 범죄(3.40점)’, ‘가짜뉴스 확산(3.35점)’, ‘사회 불평등 심화 및 사회적 연대 약화(3.39점)’, ‘지방소멸과 지역 불균형(3.29점)’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국민이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요인을 인지하고, 미래 위험의 대비를 위해 적극적인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 홍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