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션업계의 장기적인 발전과 컬렉션 통합을 통한 해외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 가장
시급한 문제로 ‘전문인 부재현상’이 들어지고 있다.
검증되지 않은 비전문가들로 인해 이어져 온 국내 패션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점중의 하나는
바로 마케팅과 연결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문가가 없다는 것.
예를들어 국내 정상급 디자이너들이 이끌어 온 SFAA의 경우 디자이너들의 정기 컬렉션이
라는 명예는 갖고 있지만, 이미지에 비해 실질적인 시장접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표적
인 케이스. 여기에는 디자이너가 기획에서 생산 유통 홍보까지 다 참여해야 한다는 아픈 현
실이 있기 때문.
이에 대해 대부분의 업계인들은 “바이어가 없다는 것은 디자이너 탓이 아니다. 지금까지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주변산업이 같이 발전하지 못한 명백한 결과로 이제 해당분야에 검증
된 전문가들과의 접목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에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이익과 목표 달성의 시점에 있어, 컬렉션의 통합은 반드시 필요하다. 비전문
가들의 사리사욕에 의해 ‘배가 산으로 가는 오류는 결코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한
결같은 경고이기도 하다.
또한, 본격적인 마케팅기관이 부재한 시점에서, 현재 패션업계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통계와
자료라는 기초적인 작업을 검증할 기관이 없다는 것도 문제점.
예를들어 국내 패션업계에는 부인복 시장이 거의 없다. 이유는 패턴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
지 않기 때문. 일류 수입브랜드들의 코트류 이외에 정장류나 기본제품의 판매가 부진한 것
도 바로 체형분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원인이다.
이것은 이른바 ‘치고 빠지는’ 장사를 위주로 해왔기 때문에 내수시장의 흐름을 제대로
예견하고 검증해본 적이 없는 결과이기도 하다.
심지어는“궂이 비싼 돈을 들여 해외 트랜드의 분석을 고찰하는 것보다 눈치껏 잘팔리는
상품을 카피하고 반영하는 쪽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라는 이론이 팽배하고 있
어, 업계의 통합적인 수치를 바탕으로 한 정확성과을 찾아내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형
편.
따라서 요즘 패션계는 이벤트 프로모터와 회원들의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단체, 그리고 컬
렉션의 기능을 갖고 있는 전문디자이너들의 통합을 요구함과 동시에, 그것을 검증하고 분석
할 수 있는 본격적인 전문가와 기관의 필요성을 한결같이 지적하고 있다.
/유수연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한국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