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내의 보내기 사업이 표류하면서 전북도내 200여 업체들이 도산
위기에 처했다는 보도(본지 10월26일자)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제품 인수 및 대금결제 2차 시한을 넘기면서 업체들의 부도 위기는 증폭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책임 회피에만 급급할뿐 명확한 해결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
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통일부는 통일부대로, 전경련은 전경련대로, 태창은 태창대로 자기 입장만 되풀이 할
뿐 부도위기의 영세 업체들은 안중에도 없는 듯 하다.
통일부는 계획에 없던 일을 전경련과 태창이 논의해 이뤄졌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대북 사업인 내의보내기 사업에 대해 통일부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말이다.
또한 전경련은 사업 자체를 일부 간부들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추진했고 태창과 쌍방울등 관
계자를 불러 단가를 알아보았으나 태창이 서둘러 생산에 들어갔다는 주장이다.
이에 태창은 서류상은 아니지만 확실한 언질을 받았기 때문에 생산에 들어갔다고 주장하면
서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여념이 없다.
하지만 각 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더라도 이해하기 힘든 의문점만 증폭되고 있다.
북한과의 교역과 지원이 활발해지면서 대북 사업을 철저히 관리해야 하는 통일부가 이러한
큰 사업에 전혀 관여된바가 없었다는 주장이 옳다면 이미 대북사업에 대한 통제 능력을 상
실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다.
반면 국가적 사업인 대북 지원사업이 전경련 몇몇 간부에 의해 임의대로 준비되었다는 주장
이 사실이면 이는 명백한 월권행위로 오인받을만 하다.
또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 단순히 단가 문의에 생산이 들어갔다는 것은 상식
을 벗어나는 것이며, 한 분기 매출에 가까운 300억원어치 수주계약을 서면 계약서 한 장없
이 구두 계약 했다는 태창의 주장 역시 더더욱 이해 할수 없다.
결국 3자의 입장만 분분한채, 이들의 기침에 영세한 하청업체들과 지역경제는 폐렴에 걸린
꼴이 됐다.
더군다나 연쇄부도를 우려하고 있는 하청업체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집단행동에 돌입
할것으로 보여 이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책임회피에 앞서, 하청 업체들의 부도를 막는 금융적, 정책적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는 업계
관계자의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하태욱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한국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