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한국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업계는 수주제를 놓고 왜 활성화되지 못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풀지 못하고 문제를 지적하기만 하며 마냥
제자리 걸음을 반복하고 있다.
몇 년전부터 불기 시작한 유통개혁 움직임은 가장 근본
이 치유되지 못한 상황에서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수주
제를 실시해 오고 있다.
한 시즌이라도 성공하는 경우에는 화제거리와 함께 너
도나도 참여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고 비록 실패한 경
우라도 「우리가 언제 수주를 진행했나」하고 입을 다
물면 아무도 그 실패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이 없다.
「모업체가 완사입을 진행한다, 위탁사입제를 실시한다,
수주회가 열렸다」하는 얘기들은 벌써 의류업계에서 수
주제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 고조되어 있음을 알게
한다.
그러나 많이 들어본 수주라는 이말에 대해 어느 누구하
나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하며 선진국형 수주를
그대로 답습하는 등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는 국내 유통현실의 특징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으로 많은 경제이론이 나오는 대학에서조차 국내 현실
에 적합한 수주제의 제안과 활성방안을 모색해 놓은 것
이 없다.
잠시나마 수주의 실례를 조사해본 결과 대기업을 중심
으로 빅기업은 대부분 직영점과 위탁경영점을 대상으로
수주제를 실시, 결국 재고의 부담이 본사로 돌아오게
되는 아이러니를 보이고 있다.
또 최근 디자이너브랜드도 수주제를 열고 패션쇼를 개
최하는 등의 열의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쇼는 쇼일뿐
이고 수주는 거의 뒷전이다.
각 브랜드社들이 아무리 고마진의 유혹을 제안한다고
해도 재고의 부담이 큰 완사입이나 이제까지 주는 것
받아오기에 익숙해 있는 국내 유통업자들의 전문 리테
일러 기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고마진은 물론 반품률과 교환율을 책정해 서
로의 부담을 완충시키는 한국형 수주제가 제법 자리를
잡아가며 서울을 비롯한 전국 유통가의 의식이 전환되
고 있다.
수주제의 활성화는 트랜드와 의류시장 흐름을 소비자가
아닌 브랜드社가 이끌어 가는 진정한 패션리딩 문화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치밀한 시장분석과 상권 파악, 소비자 라이
프 스타일을 바탕으로한 분석이 만족되어져야하며 대리
점주들이 수주 스타일과 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자생력
을 키워나가도록 업체와의 긴밀한 공조체계가 필수적으
로 갖춰져야 할 것이다. <길영
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