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다각화 ‘붐’럭셔리 이미지 적극 어필·매장 토틀화 실현
『소비자들의 패션마인드가 올라가면서 패션잡화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의류보다 착용시간이 많으며 브랜드 노출도가 많은 슈즈, 핸드백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패션소품을 패션의 한 흐름으로 인정하면서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과 착장에 따른 다양한 소품으로 활용, 그에 따른 소비자 니즈도 다양해지면서 확대되고 있는 추세.
소비자들은 해외명품에 대응하는 퀄리티와 패션성을 갖춘 신선한 제품을 원하고 있으며 업계 또한 지속적인 고급화 작업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특히 최근 소비자들의 착장이 캐주얼화되면서 완벽한 코디네이션을 위한 노멀한 드레스라인과 캐주얼과 스포티즘을 접목시킨 신세대 패션잡화라인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드레스 라인을 제안하던 브랜드에서도 새로운 스니커즈, 캐주얼 라인을 구성하거나 직수입제품을 들여오는등 상품구성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이에 한 아이템을 전개하던 패션전문사들이 슈즈와 가방등의 패션소품으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매장도 토틀화를 시도, 명품형 박스매장을 구성하는등 브랜드 밸류를 극대화시켜나가고 있어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 슈즈업계도 소비자, 시장변화에 힘입어 변화의 급물살을 타고 있다.
관련 업계는 올해 새로운 과도기를 겪고 있다. 이번 상반기 심각한 자금난과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던 관련업계는 이를 반판 삼아 과감한 시도와 신경영전략으로 새로운 비상을 꿈꾸고 있다.
그동안 카피 일색이던 살롱화 조닝에서도 브랜드력 강화를 위해 기획력과 마케팅을 강화하기 시작했으며 해외 라이센스를 도입하는등 기존의 매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를 마련해나가고 있다.
또한 국내 슈즈업계를 리드해 나가던 금강제화, 에스콰이아등의 거대 기업에서도 젊고 새로운 이미지로 거듭나기 위한 과감한 투자를 단행함으로써 관련업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이러한 리딩 브랜드들은 생산기반을 더욱 확고히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생산인력의 육성, 안정화를 기반으로 신경영전략을 짜는등 발전적인 비젼을 제시해 나가고 있는 것.
또한 기존 고객의 노후화와 함께 중년층 중심의 올드한 브랜드라는 인식을 벗어내기 위해 젊어지기 위한 노력으로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기존 브랜드를 리뉴얼하는등 이미지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은 살롱화에 비해 볼륨있는 유통망과 대중적인 마켓쉐어를 확보하고 있었으나 올해 과감한 변신을 시도, 각각의 브랜드를 강화시키고 타겟과 가격도 세분화하면서 신수요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추세다.
기업 변신을 선언하면서 30%이상의 역신장을 우려했으나 실제 매출이 전년수준으로 양호하거나 신장세를 나타내고 있어 자신감을 회복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거대기업의 변신과 함께 마켓쉐어 확보에 비상이 걸린 살롱화 브랜드들은 BI변경등으로 신선함을 어필하고 있으며 고급슈즈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유명 라이센스를 도입하는등 분주한 모습이다.
브랜드별 이미지를 강하게 어필하기 위해 BI와 관련 소품등을 교체하는등 고객에세 신선한 이미지로 다시 한번 인식시켜 나가고 있다.
이번 F/W는 시장 환경과 소비자 착장변화에 발맞춰 캐주얼 라인을 보강하거나 직수입라인을 확대하는등 상반기 매출을 만회하기 위한 새로운 상품전략을 주무기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살롱화 업계는 그동안 관심조차 보이지 않던 마케팅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한차원 높아진 고객관리 시스템과 물류 시스템도 업그레이드시켜 나가는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브랜드 볼륨화에 발맞춰 주문화 생산을 절반 이상으로 줄이거나 10%미만으로 책정하며 디자인과 소재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밝힌다.
기획화 비중을 늘려 소비자 컴플레인을 줄이는 한편 제품과 디자인 개발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각오며 각 백화점의 볼륨화에 따른 물량도 원활하게 공급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지속적인 성장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던 인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 브랜드별 사장급들이 직접 현지조사에 나서거나 살롱화 브랜드들의 연계로 공장을 설립하자는 의견이 제시되는등 생산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산인력 양성, 작업 환경 업그레이드와 확실한 카피문화 지양등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이제는 변하지 않고서는 하루 앞을 내다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번 F/W 브릿지 라인의 수입화, 라이센스 제품들이 출범을 앞두고 있으며 여성복과 스포츠, 캐주얼등에서 패션잡화의 비율을 확대하는 추세.
소비자들의 착장도 점차 고급화, 캐주얼화된다는 환경변화와 함께 범위와
저작권자 © 한국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