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한국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섬유산지 대구가 기대와 비전을 앞세워 이를 실현키 위
한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변화의 행보는 누가 뭐랄 것
도 없이 기업 스스로의 돌파구 찾기와 살아남기 위한
대안마련이 핵심으로 작용하고 있다.
품질의 고급화, 다양화, 차별화를 향한 변화의 행보는
지금 섬유산지 대구를 대변하고 있다.
90년 중반, 위기에 처한 PET직물업계가 아무리 몸부림
을 쳐대도 지금같은 변화를 꾀할 생각조차 못했다. 그
러나 지금은 누가 말려도 소용없을 만큼 힘과 스피드를
앞세운 변화의 바람이 드세게 일고 있다.
이같은 작금의 변화는 재고처리의 미봉책으로 설립된
직물비축협동화사업을 무력케 만들만큼 바람직한 방향
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량생산은 비중있게 끌고 가 돼 덤핑수출은 안 된다는
마인드.
품질이 곧 기업의 경쟁력이란 등식을 성립시키겠다는
사고.
고급화와 차별화로 제2도약의 꿈을 실현시키겠다는 섬
유인의 의지가 지금 대구를 변화시키고 있다. 생산과
마케팅의 변화뿐 아니다. 기업의 재무구조개선을 통한
건실도도 비중있게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IMF사태이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언론을 도배케 한 부도란 이슈가 지금으로선 찾아보기
힘들만큼 기업의 자생력이 좋아졌다.
본론으로 돌아가 자칫 이같은 변화의 흐름을 대구시 또
는 단체에서 아전인수격인 공으로 돌릴까 우려된다.
『누구의 공이든 바람직한 변화만 이끌어낸다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지 모르겠지만 대답은 노(No)다.
밀라노 프로젝트를 계기로 대구시가 대구산지 육성에
총대를 메고 문희갑시장이 직접 진두지휘하고 있다. 섬
유관련단체들도 밀라노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바쁜 시간을 할애, 결의대회를 갖는 등 열의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한시적(?) 열의가 지금과 같은 대구의
변화를 이끌어 낸다고 생각한다면 착오도 대단한 착오
다.
전술했듯이 대구의 변화는 세계시장의 동향, 수요자의
욕구, 기업의 돌파구 마련과정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
어난 것으로 봐야 옳다.
그렇다면 목소리 높던 대구시나 섬유관련단체는 과연
이 과정에서 『무엇을 했는가』를 업계는 반문해야 한
다. 객관적으로 지켜본 필자의 대답으론 『한 게 없
다』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오히려 이러한 변화에 걸림
돌이 될까 우려된다. 우려의 핵심은 섬유관련 단체간
불협과 반목을 증폭시키는데 대구시와 단체가 앞장서고
있다는데 있다.
대구시와 단체가 펄펄 뛸 일이지만 이것은 명백한 사실
이다.
밀라노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진두지휘하는 문희갑시장
은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이 대구산지 업계와 이를 대변
하는 단체의 화합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화합과 참여없이 정책의 성공적 수행을 바란다면 최소
한 지혜와는 거리가 멀 뿐이다.
그런데도 문시장은 대구섬유관련 단체장을 화합의 장으
로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불협을 조장하는 결과가 맞는 표현일지 모른다.
밀라노 프로젝트 추진위원회에 산지 최대의 단체인 견
직물조합과 직물조합, 그리고 메리야스조합이사장을 배
제시킨 것은 당시 상황으론 설득력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문시장은 아직까지 이들 단체를 끌어들여 밀라노 프로
젝트의 성공적 추진에 힘을 실을 생각을 못하고 있다.
얼마전 섬산련회장단과 문희갑시장을 비롯한 대구섬유
관련단체장 및 밀라노 프로젝트 추진위원들과 가진 골
프회동에서도 이같은 상황은 그대로였다.
약속이나 한 듯 이들 세사람이 철저히 배제됐고, 불협
과 반목의 제2라운드가 수면위 부상하는 것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단체장간의 불협과 반목도 문제이자 걸림돌이다.
정우영 섬개원이사장과 하영태 견직물조합이사장, 이효
균 직물조합이사장이 대표적 케이스다.
이들은 공익을 앞세울 수 없을 만큼 깊은 반목의 수렁
으로 빠져들고 있다.
밀라노 프로젝트를 추진할 핵심단체는 누가 뭐래도 대
구시를 축으로한 염색기술연구소(이사장 함정웅), 섬유
개발연구원(이사장 정우영), 견직물조합(이사장 하영
태), 직물조합(이사장 이효균)이다.
이들 단체의 결집과 대구시와의 연계로 업계의 변화바
람에 힘을 실어주는 것은 당연하고 또 책임이다. 불협
이 수면위 부상하기 전에, 상처가 곪아터지기 전에, 문
희갑시장과 해당단체장들은 산지의 미래를 내다보고 화
합의 장을 이끌어 내야 한다.
이 과제를 풀지 못하고는 산지 변화에 도움을 준다고
말할 자격이 없다. 이 시국에 특정단체장의 역량을 치
켜세우며 불협과 반목을 부추기는 발상도 지탄받아 마
땅하다.
/김영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