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섬칼럼] 날개 잃은 섬유수출, 민관연 머리를 맞대라
[한섬칼럼] 날개 잃은 섬유수출, 민관연 머리를 맞대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섬유수출 모양새가 시간이 흐를수록 역성장에 더욱 힘이 쏠린다. 수출부진에 넋 잃은 섬유업체가 덩달아 늘어난다. 이제 수출부진은 산업의 기반까지 흔들어 댄다. 31억3000만 달러, 올해 1분기 섬유수출 결과다. 전년 동기대비(33억2900만 달러) 6% 줄었다. 지난해부터 추락의 날개를 장착한 섬유수출 기세가 올해도 멈출 줄 모른다. 굳이 안도의 빌미를 찾자면 감소 폭 규모가 전년 동기대비 4.7%p 줄었으나 큰 의미는 없을 듯하다. 2014년 1분기 37억2900만 달러보다 무려 16% 쪼그라들었다. 최근 3년 1분기 섬유 수출은 14년 전년 동기대비 2.1% 성장을 끝으로 15·16년 2년 연속 역성장을 이어갔다. 문제는 질주하는 역성장이 올 1분기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는 데 있다. 끔찍하지만 당분간 매 분기마다 역성장 페달을 예고한다.


섬유 수출에 날개가 없다. 날개 잃은 수출은 당장 바닥조차 가늠하지 못한 채 헤맨다. 세계 경기 탓이라며 애써 자위를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이야기부터 달라진다. 동식물은 환경에 적응 못하면 도태의 길을 걷는다. 뼈를 깎아내는 진화의 고통을 이겨내야 새로운 미래가 열린다. 주어진 환경을 이겨내야 한다는 뜻이다. 산업이나 기업도 마찬가지다. 과거의 성장 유혹에 빠진 채 새로운 환경을 외면하면 답은 자명하다. 몰락으로 가는 길이다. 소니 노키아 코닥 등 한때 세계시장을 호령했던 세계일류기업들의 몰락은 극단적으로 웅변해 준다.

섬유산업이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 진화냐, 도태냐의 갈림길에 마주쳤다. 산업 기반은 시간이 흐를수록 붕괴의 굉음만 요란하다. 면방 화섬 모방 직·편물 염색 봉제에 이르기까지 스트림 전체에 ‘못 견디겠다’는 아우성으로 들 끊는다. 발 빠르게 글로발리제이션 전략에 나선 의류봉제의 성공사례가 지금 직·편물 염색에까지 엑소도스 행을 알린다. 국내 섬유산업 기반이 더 이상 섬유기업을 지탱할 수 없을 정도로 나빠졌다는 반증 아닌가. 지리멸렬한 섬유 수출은 결코 이와 무관치가 않다. 허약한 산업 기반 경쟁력이 수출활동 동력을 앗아내는 꼴만 오버랩 시킨다.

갈수록 역성장 수출 모양새에
밀 엑소더스 등 산업기반 흔들
진화냐 도태냐 선택의 기로에
허약한 산업기반 수출동력 앗아낼 뿐
10년 앞 내다보는 지지대 구축 나설 때


섬유 수출은 2011년부터 내리 4년간 160억 달러 돌파에 매달렸다. 섬유산업의 부활, 르네상스 도래라는 화려한 수사를 들먹일 만큼 재도약의 기치가 용틀임 쳤다. 그렇지만 용틀임은 용틀임만으로 끝났다. 신제품 개발보다 너도나도 우려내는 수출에 매달렸다. 당연히 수출가 하락을 불렀고 영업이익 보전은 물 건넜다.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지지대, 지구력 훼손에 너 나가 없었다. 지구력은 다름 아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설비투자, 다양한 루트의 비즈니스 발굴과 맞물려 나간다.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의 의미는 최소한 10년 뒤의 먹거리 발굴에 닿는다. 당장 미래를 위한 투자에 과연 섬유업체 얼마나 실행하는 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설비투자도 뒷전이었다. 섬유산지 대구경북이나 경기북부에 새로운 설비투자 소식은 가뭄에 콩 나듯 하다. 설비의 경쟁력은 품질과 생산성을 가늠하는 잣대다. 낡은 설비로 우려내듯 제품을 만드니 경쟁력 자체가 온전하겠나. 바이어 발굴은 비즈니스 결정판이다. 집토끼만 껴안으려 든다면 수출과 담쌓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 당장 다양한 산토끼를 찾아 나서는 게 요구받는다.섬유 수출은 160억 달러 벽을 넘어서지 못한 채 주저앉았다. 그리고 2015년 들어서자 급전직하로 치달았다. 문제의 답은 11년부터 160억달러 돌파에 매달렸던 4년간 섬유수출입 계산서가 보여준다. 4년 간 공허한 수출의 휘파람에 취한 채 내수 기반 붕괴 가속화에 휘둘렸다. 2014년 섬유수출입 계산서는 절정의 변곡점을 적나라하게 알린다. 그 해 수출은 159억3600만 달러였으나 수입은 사상 첫 140억 달러대 진입과 함께 146억5800만 달러에 달했다. 무역수지 12억7900만 달러는 13년(24억3400만 달러)대비 반 토막 났다.

섬유산업 지지대는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마의 벽 160억 달러 돌파는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문제는 어떻게 하느냐다. 민관연이 자주 머리를 맞대야 하는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명 : ㈜한국섬유신문
  • 창간 : 1981-7-22 (주간)
  • 제호 : 한국섬유신문 /한국섬유신문i
  • 등록번호 : 서울 아03997
  • 등록일 : 2015-11-20
  • 발행일 : 2015-11-20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234 (밀스튜디오빌딩 4층)
  • 대표전화 : 02-326-3600
  • 팩스 : 02-326-2270
  • 발행인·편집인·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석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 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김선희 02-0326-3600 [email protected]
  • 한국섬유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한국섬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