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3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겪게 되는 과정을 되살렸다
대문에 금줄을 내걸면서부터 시작된 삶의 전체 과정
국립민속박물관은 1946년 개관해, 우리의 생활문화 풍습을 발굴 계승 전달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웃고 울고를 거듭하며 살아온 민속 문화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민족 정체성을 확인해 볼 열린 전시 공간이다. 박물관 3전시관에서 ‘한국인의 일생’이 펼쳐진다. 조선시대1392~1910에서 현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겪는 주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는 유교사상, 아들 중심 계승이다. 출산과 백일, 돌잔치를 열어 건강한 성장을 축원한다. 남자는 20세에 관례를, 여자는 15세 전후에 혼례를 치른다. 남자는 관직을 얻어 가족을 부양하고, 여자는 집안 살림을 맡았다. 사람이 죽으면 그 슬픔을 상례 제사로서 예를 다하고, 자손의 번창과 친족의 화합을 도모했다.
대문에 금줄을 내걸면서부터 시작된 삶의 전체 과정
일생을 통해 사계절이 뚜렷한 한반도는 더위와 추위를 대비한 춘추 추동 복을 구분했고, 축하잔치와 제사 상례와 같은 때와 장소 목적에 맞는 복식도 갖춰 입었다. 의복을 만드는 원료로 실을 만드는 물레도구들과 원단을 만드는 직기도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상시 열린다.
8월은 잼버리 후 방문한 외국인들이 한국의 미를 담은 부채제작과 박물관 관람으로 분주하다.
저작권자 © 한국섬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